미얀마 지진 피해, 한인들의 피해상황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얀마 지진 피해, 한인들의 피해상황

by 행복 진주 2025. 3. 29.
반응형

"> http://

 

2025 3 28, 미얀마 중부 사가잉 지역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이 지진은 미얀마 전역과 인근 국가인 태국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진원의 깊이가 10km로 매우 얕아 피해가 더욱 컸습니다.

 

 

지진의 원인

미얀마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경계에 위치하여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입니다. 이번 지진은 사가잉 단층을 따라 발생했으며, 이 단층은 과거에도 여러 차례 강진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피해 상황

  • 미얀마: 정확한 피해 규모는 아직 파악 중입니다. 그러나 내전과 언론 검열로 인해 정보 수집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 태국: 수도 방콕에서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건물이 붕괴되어 최소 43명이 매몰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인 피해 여부

현재까지 미얀마와 태국에서 한국인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외교부는 현지 공관과 협력하여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여진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현지 당국의 지침을 따르고 신변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전합니다.



 

미얀마 한인 거주지 및 지진 영향

미얀마에는 약 2,000여 명의 한인이 거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들은 주로 경제 중심지인 **양곤(Yangon)**과 행정 수도인 **네피도(Naypyidaw)**에 집중되어 있는데요, 이번 지진의 진앙지는 미얀마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Mandalay)**에서 서남서쪽으로 33km 떨어진 지점으로 보고되었고 하네요.

 

  • 양곤: 진앙지에서 약 600km 남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 네피도: 진앙지에서 약 250km 남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한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양곤과 네피도는 진앙지와 상당한 거리가 있어 직접적인 피해는 비교적 적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까지 미얀마 내 한인들의 인적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하네요.

 

태국 한인 거주지 및 지진 영향

태국에는 약 2만여 명의 한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은 주로 수도인 **방콕(Bangkok)**과 북부 도시인 **치앙마이(Chiang Mai)**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번 지진은 방콕에서도 강한 진동이 감지되었으며, 건설 중이던 고층 건물이 붕괴되는 등 피해가 발생하였습니다. 

  • 방콕: 진앙지에서 약 1,000km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한 진동이 느껴졌습니다.
  • 치앙마이: 진앙지에서 방콕보다 더 가까운 북부에 위치해 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인 피해 보고는 없습니다.

현재까지 태국 내 한인들의 인적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외교부와 현지 대사관은 한인들의 안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